청년 저축 알바 해서 한 달 소득이 120만원 정도고 고정 지출은 20만원

청년 저축 알바 해서 한 달 소득이 120만원 정도고 고정 지출은 20만원

알바 해서 한 달 소득이 120만원 정도고 고정 지출은 20만원 선이고 제가 쓸 돈은 30 정도? 빼고나면 70정도가 남아서 안 쓸 수 있게 하고 싶은데 적금을 가입하는 게 나을까요 아님 혹시나 돈 필요할지도 모르니 다른 통장에 모아놓을까요..? 주택 청약이 나을까요..?

한 달에 약 70만 원 정도를 저축할 계획이군요. 안정적인 저축 방법과 유동성(필요할 때 찾을 수 있는지)을 고려해서 가장 좋은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저축 목표에 따라 선택하기

단기 저축 (1~2년 이내 필요할 수도 있음)

→ 자유 입출금 통장 + CMA통장 활용

  • 갑자기 돈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다면 일반 적금보다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는 통장이 유리

  • **CMA(종합자산관리계좌)**는 연 3~4% 이자를 주면서도 필요할 때 바로 출금 가능

중·장기 저축 (5년 이상, 주택 구매/전세 대비)

→ 청년형 주택청약 + 적금(고금리 상품) 가입

  • 청년 주택청약저축: 월 2~10만 원 납입, 나중에 청약 당첨 시 유리

  • 고금리 적금: 1년 만기 적금(연 4~5% 금리) 활용

2) 추천 저축 방법 (70만 원 기준)

① 단기 예비 자금 (30만 원) → CMA통장에 넣기

  • 필요할 때 바로 찾을 수 있도록 CMA통장(연 3~4%) 활용

  • 신한알파, 한국투자증권 CMA 등 추천

② 중장기 저축 (20만 원) → 청년형 주택청약저축

  • 주택 청약을 생각한다면 청년형 주택청약저축 가입 추천

  • 청약이 필요 없으면 일반 적금(1년~3년)으로 대체 가능

③ 안정적인 적금 (20만 원) → 고금리 적금 활용

  • 인터넷은행(케이뱅크,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고금리 적금 가입(연 4~5%)

  • 1년 만기로 돌려서 원금 + 이자 수익 극대화

3) 결론

  • 돈을 바로 찾을 가능성이 있다면? → CMA통장 활용 (30만 원 정도)

  • 주택 구매 또는 전세를 생각한다면? → 청년형 주택청약저축 (20만 원)

  • 안전한 저축을 원한다면? → 고금리 적금 가입 (20만 원)

이렇게 분산해서 저축하면 필요할 때 돈을 찾을 수도 있고, 장기적으로도 유리한 저축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