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이번 5월10일에 붙는다고 치면 실기 시험은 바로 다음에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이번 5월10일에 붙는다고 치면 실기 시험은 바로 다음에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이번 5월10일에 붙는다고 치면 실기 시험은 바로 다음에 쳐야 하나요? 아니면 일정 기간 내로 치면 되나요? 그리고 실기 시험은 뭘 하나요?

국가기술자격증의 필기 유효기간은 2년입니다.

실기 시험은 바로 다음에 쳐야 하는건 아니고요.

바로 다음에 쳐도 되긴한데 바로 다음에 안 쳐도 되는거고요. 본인 선택입니다.

필기 합격 시점에서 2년 내로 실기 합격하시면 자격증 취득입니다.

실기 시험은 필기처럼 객관식 4지선다 형식이 아니라 주관식 필답형 20문제입니다. 단답형 문제도 나오고 서술형 문제도 나옵니다. 문제 지문에서 설명하는 용어를 적어줘야 하는등... 이렇게 말이죠.

코딩 문제같은 경우는 출력값을 적어줘야 되구요.

출력값을 적어줄 때도 문제 포맷(format)에 맞춰서 적어줘야 됩니다. 포맷을 출력 형식이라고도 하죠. 출력되는 양식에 맞춰서 작성해야 합니다.

20문제에서 12문제 맞히셔야 합격입니다. C, JAVA, PYTHON, SQL 등등... 문제가 나오는데 특히 프로그래밍 문제랑 SQL 문제에서 득점 많이 챙겨가셔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파트예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기초가 거의 없으면 해당 언어를 먼저 조금 살펴보시고 공부하시는게 수월하실 겁니다. 안 그러면 계속 막힙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문제가 비중이 크고요. 여기서 많이 맞히셔야 됩니다. 실제로 컴파일러에다가 소스 코드 직접 작성해서 실행해 보시면서 공부하면 더더욱 도움이 되고요. 코딩 문제는 외워서는 풀 수 없습니다. 이해를 해야되는 과목입니다. 동작 원리, 구조, 개념 이런거 잘 알고계셔야 풀 수가 있어요.

C같은 경우는 포인터, 다차원 포인터, 배열, 구조체, 재귀 호출, 함수 등등... 전부다 시험 범위안에 들어있습니다. 대부분 포인터랑 재귀 호출에서 사람들이 많이 어려워 하죠.

← 목록으로 돌아가기